new✨
-
[독서]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_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오랜만에 티스토리에 글을 남긴다. 네이버 블로그에는 일상 이야기를, 티스토리에는 일에 집중한 기록을 남기려 했는데, 간만에 들고 온 주제가 정치책 이야기라니 .. 조금 낯설다.그래도 이곳은 내가 조금씩 더 나아지는 과정을 담기 위해 만든 블로그니까. 정치에 무심했던 내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올바르게 판단하고 바라보는 법을 배워가는 중에 만난 책이라 더 의미 있게 다가와, 그래서 이곳에 기록해 두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글을 써본다.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_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기간: 2025/04/14 ~ 2023/05/24⏱️ 읽은 시간: 06:08:36⭐️ 별점: 4.3 *나의 어떠한 정치적 이념도 담아내지 않고, 뉴스기반. 팩트기반으로 적으려 노력했다. 하지만 나..
2025.05.24 16:12 -
[디자인] 비교가 쉬운 테이블(Table UI) 디자인하기
다양한 데이터를 다루는 웹 서비스를 설계할 때 자주 사용하는 UI 요소 중 하나가 테이블(table)입니다. 저는 작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경험을 주로 다루면서 테이블을 디자인할 일이 거의 없었는데요...그런데 올 초, 지금의 회사로 이직하면서 테이블을 자주 디자인하게 되었어요. 처음엔 엑셀 시트 같은 테이블UI를 다루는 게 낯설었습니다. 어색함 속.. 단순히 데이터를 테이블 안에 나열하는 방식으로만 디자인했던 것 같네요.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점차 찾아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중 일부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테이블(table)이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테이블은 단순히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를 체..
2024.10.13 17:30 -
[사이드 프로젝트] 내가 기억하려고 쓴 독서타임 프로젝트 일기 - 1
[프로젝트 회고] 독서타임, 독서 시간 기록 앱 MVP를 출시하며... 이 글을 회고에 올릴지, 프로젝트로 올릴지 고민하다가 결국 회고 카테고리에 남겨본다. 쓸모없더라도, 아무도 관심 갖지 않더라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앱을 만들어 발전시켜 보자! 그 design-tra.tistory.com 2023년 6월 독서타임의 MVP 버전을 처음 시작한 후로 약 8개월의 시간이 흘렀어요. 그러는 사이 티 날 듯 나지 않는 UX적인 개선도 많이 이루어졌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과 페이지를 추가해 갔어요. 이제는 제법 앱 서비스 다운 모습도 보여주고있는 듯해요. '앱' 다워진 기념으로 이번 아티클을 통해 출시 이후의 시간 동안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기록해 보고자 합니다. 유저 피드백을 어떻게 받고..
2024.02.28 19:00 -
01.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무슨 차이예요??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무슨 차이예요??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몇몇 오픈 채팅방에 들어가 있다. 채팅방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질문이 있는데,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가 어떤 차이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실무에 있는 많은 디자이너들도 아직까지 명확하게 답해주는 사람이 적은 듯하다. 그래서 이 글을 바탕으로 UI, UX, 프로덕트 디자이너 간의 차이를 구별해보고자 한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UI 디자인을 아예 못해도 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UX/UI 디자이너랑 프로덕트 디자이너랑 무슨 차이예요?" "JD를 확인하는데, 적혀있는 어쩌고 저쩌고 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얼핏 보기에 UI 디자이너, UX 디자이..
2024.01.27 20:55
books 📚
-
[독서] 디즈니만이 하는 것_로버트 아이거
디즈니만이 하는 것_로버트 아이거 독서 기간: 2021.06.24 ~ 2021.06.29 별점: ★★★★★ (p.397) 오늘이 내일로 이어졌고, 이 직무가 저 직무로 연결되었으며, 하나의 선택이 다음의 선택을 잉태했다. 이렇게 삶의 스토리라인에 일관성과 연속성이 주어질 수도 있는 것인가. - 누적된 경험도 없이 그 누구도 무언가를 얻기란 불가능하다. 디즈니의 CEO 로버트 아이거에게는 인생을 살아오며 마주친 훌륭한 멘토들이 있었고, 그들로부터 많은 것을 배웠다. 그리고 그는 스스로의 직관을 믿었고 이로써 훌륭히 디즈니를 이끌어 갈 수 있었다. (아이거의 말을 빌려,) 우리의 경력과 삶에는 분명 변곡점 같은 순간이 존재하지만, 그 순간이 매번 그렇게 명백하게, 또는 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깨달음(/배..
2021.06.30 00:00 -
[독서] 굿 라이프_최인철
굿 라이프_최인철 독서 기간: 2021.12.25 ~ 2021.12.29 별점: ★★★★★ 다음 해에는 더 좋은 나로 살아가고 싶어서 읽게 된 책. ① 더 좋은 내가 되기 위한 '나 이해하기' 삶에 대한 자기만의 기준이 명확하고, 동시에 그 기준이 건강하면 살아가는데 거침이 없다. 그 기준 외의 것들에 대해서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살면서 흔들리는 이유는 자기 기준이 없어서다. - 행복을 위해서는 나 자신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내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 싶은지.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싶은지.’에 대해 이해했을 때 비로소 더 나은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행복은 순간의 감정이 아닌 철저하게 일상적이다. 이 일상에서 되고 싶은 내가 되기 위해선 (타인과 경쟁/비교하지..
2021.12.30 10:19 -
[독서] 라틴어 수업_한동일
라틴어 수업_한동일 독서 기간: 2021.03.09 ~ 2021.03.14 별점: ★★★★★ 소개 은 저자 한동일이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서강대학교에서 강의했던 내용을 정리한 책이다. 수업은 라틴어를 가르치는 외국어 강좌가 아니라 고대 로마부터 현대 이탈리아까지 아우르는 유럽의 역사, 문화, 철학, 지리, 사회에 이르는 통합 강좌였다. 나아가 이 강의를 통해 본인의 인생과 마주할 수 있는 인생의 배운 터라 많은 학생이 말한다. 대학 교양 수업에서 이와 같이 질 높은 수업이 있다니... 비록 현장에서 전달받지 못했지만, 책으로나마 저자의 수업을 접하여, 글을 통해 큰 위로와 힘을 얻을 수 있게 되어 기쁘다. 어느 날 갑자기 내게 이 소중한 책을 선물해준 라선 언니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이 책..
2021.03.14 17:01
🔎design articles
-
[모빌리티 UX] 왜 테슬라의 UI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달을 띄울까?
최근 IVI에 대해 깊이 스터디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어요. 스터디하며 흥미로웠던 점을 공유하고자 아티클을 작성합니다. "우리 땐 말이야, 머릿속에 지도를 다 넣고 운전했어~" 저는 카카오 맵이나 네이버맵 없이 어딘가에 간다는 걸 상상할 수 없어요. 어릴 적 가족들과 전국일주 여행을 떠난 적이 있었는데, 그 자리엔 네비게이션이나 지도 앱이 없었어요. 대신 아버지의 차량 뒤편에 항상 꽂혀있던 전국 지도가 생각납니다. 종이 지도가 작은 스마트폰에 들어오며 우리의 일상은 크게 달라졌어요. 갈 수 있는 지역은 더 넓어지고, 경험할 수 있는 가치가 풍부해졌어요. 작은 모바일 속 지도는 이제 차량 안으로 들어왔어요. 더 넓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는 건 당연하거니와 운전자의 주행 상황 등에 더 부합하는 정보를..
2021.12.09 16:00 -
[아티클] 첫 화면으로 사로잡아라
2019년 03월 cracker.live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첫인상은 강렬하다 우리는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 그 사람에 대한 '첫' 이미지를 정의한다. 그리고 짧은 순간 동안 보고 느낀 인상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곤 한다. 첫 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그것보다 200배 이상 강렬한 인상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렇기에 첫 인상은 강렬하고 오래간다. " 좋은 첫인상을 남길 수 있는 기회란 결코 두번 다시 오지 않는다." -디오도어 루빈- 정신분석가인 디오도어 루빈은 좋은 첫 인상을 남기는 것을 '기회'라고 표현했다. 기회는 한번 뿐, 약 0.1초의 찰나의 시간동안 우리는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야 한다. 인상은 사람이나 사물만의 것이 아니다. 우리 주변의 서비스 역시 좋은 첫인..
2021.01.04 15:39 -
[Scene03] 서비스의 주인공을 결정하라!
Behavior Mapping(행동 매핑)을 통해 Persona(퍼소나/페르소나) 모델링 하기 졸업전시 프로젝트를 위해 3명의 팀원들과 작성한 아티클입니다. 그중 제가 작성한 아티클만 블로그에 공유할 예정입니다 :) 📌INDEX 더보기 Prologue: 프로젝트와 웰던 소개 Scene 01: 코로나 19에 대응한 사용자 리서치 (@Medium) Scene 02: 인사이트 요리법 : 숨겨진 로우 데이터의 맛을 찾아서 Scene 03: 서비스의 주인공을 결정하라! 👈now Scene 04: 일관된 브랜딩 하기 (@Medium) (+) 아이디어 소개: CUE : carry on with your everyday! 이번 아티클에서는 WELLDONE의 Persona(퍼소나 혹은 페르소나) 모델링 작업일지를 다룰 ..
2021.01.06 19:10 -
[서비스 분석] 토스, 카카오 뱅크, 카카오페이는 어떻게 '신용점수 변동 알림'을 보내주고 있을까?
몇 달 전, 카드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신용점수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받았습니다. 아마 이 푸시 알림이 없었더라면 아무것(카드 만기+신용점수 변동)도 모른 채 지나쳤을 것 같아요. 알림을 보내준 서비스는 카카오 뱅크 (카뱅) / 카카오페이 (카페) / 토스였는데요, 각 서비스마다 전달하는 메시지가 달랐던 점이 흥미로워 이번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신용 점수 서비스 사실, 경제적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은 저에겐 신용 점수는 조금 어려운 개념이에요. 그래서 먼저, 신용 점수와 그 서비스에 대해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신용점수가 일상에서 뗄 수 없는 녀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신용 점수는 '좋은 소비 습관'을 지녔고 '재무상태 점검' 등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을 말해주기 ..
2021.11.29 22:00 -
[아티클] 돈 버는 포켓몬 고ㅣ버드헌터(Bird hunter)와 라임S주서(Lime-S Jucier)
돈 버는 포켓몬 고 2016년 대한민국의 '포켓몬 고' 열풍을 기억하나요? 당시 한국에선 아직까지 출시되지 않았음에도 강원도 속초 등의 일부 지역에서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속초행 고속버스 대부분이 매진되는 사건이 일어날 정도였습니다. (TMI) 저는 정식 출시된 후에야 플레이할 수 있었는데,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연결된 형태의 AR 서비스를 통해 걸어 다니며 포켓몬을 수집해가는 과정에서 흠뻑 빠졌던 기억이 납니다. 밖에 나가 포켓몬 고를 할 때면 동네 초등학생들을 꼭 마주쳐서 부끄러웠어요...ㅎ 그런데 여기, '돈 버는 포켓몬 고'라 불리는 긱 이코노미 서비스가 있습니다. 긱 이코노미(Gig-economy)란, (캠브릿지 어학 사전에 따르면) 일시적인 직업을 가지거나 독립된 프로젝트를 수..
2021.02.16 20:00 -
[아티클] 요즘 것들을 사로잡은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Tra 이 글을 쓸 당시(2019년 12월) 나는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를 MZ세대에 한해 큰 인기를 얻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재택근무와 화상수업이 일상이 된 지금은 세대 구분 없이 누구나 비디오 미팅에 익숙해 있다. 지금은 코로나 19와 언택트 시대 없이는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를 설명할 수 없지만, 그 둘을 뺀 당시의 글을 다시 읽어보니 새롭게 다가와 공유를 결심했다. Z세대는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에 열광한다. 요즘 것들 이래서 안돼요~ 🎧 🎹 🎸 과거부터 ‘요즘 것들’은 기성세대와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눈에는 버릇이 없고 이해할 수 없는 비난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최근 요즘 것들은 Z세대 (1996년대에서 2011년대 초반에 태어나 유년시절부터 모바일 환경과 영상에 노출된 세대)라 불리며 ..
2021.01.17 12:19
📌 hot posts
-
[디자인] 비교가 쉬운 테이블(Table UI) 디자인하기
다양한 데이터를 다루는 웹 서비스를 설계할 때 자주 사용하는 UI 요소 중 하나가 테이블(table)입니다. 저는 작년까지만 해도 모바일 경험을 주로 다루면서 테이블을 디자인할 일이 거의 없었는데요...그런데 올 초, 지금의 회사로 이직하면서 테이블을 자주 디자인하게 되었어요. 처음엔 엑셀 시트 같은 테이블UI를 다루는 게 낯설었습니다. 어색함 속.. 단순히 데이터를 테이블 안에 나열하는 방식으로만 디자인했던 것 같네요.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테이블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점차 찾아가고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중 일부를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테이블(table)이 무엇이며 어떤 목적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테이블은 단순히 데이터를 나열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를 체..
-
[UX방법론/스터디] 사용자 멘탈모델
멘탈모델(Mental Model)을 스터디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1. 멘탈모델 (Mental Model) 멘탈모델은 왠지 모르게 자주 들었던 용어임에도 그 의미를 설명하고자 하면, 막막한 UX용어 중 하나입니다. 도널드 노먼(Donald A. Norman)은 『디자인과 인간심리』에서 멘탈모델을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멘탈모델(Mental Model)이란 사람들이 자기 자신, 다른 사람, 환경, 자신이 상호작용하는 사물들에 대해 갖는 모형이다. 사람들은 멘탈모델을 경험, 훈련, 지시를 통해 형성한다. 한 도구의 멘탈모델은 주로 그 장치의 작용과 가시적 구조를 지각하고 해석함으로써 형성된다. 에서 즉, 멘탈모델이란 특정한 주제에 대한 사용자의 행동 친화도(혹은 연관성 있는 항목을 모아놓은 도표)이며 사람들..
-
[UX Writing] UX 라이팅 두가지로 요약해드립니다. - ❷편. 맥락에 따라 일관된 성격으로 말걸기
를 먼저 읽고 오면 더 좋아요. [UX Writing] Q: 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A: 두가지로 요약해드립니다. - ❶편. 이해하기 쉽게 쓰 이미지 자료 중 일부는 학위 연구에서 인용하였습니다. Q. 모바일 앱 어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는 몇 % 나 차지하고 있을까요? 인터콤에 따르면, 앱스토어 내 인기 앱 25개를 분석했을 때 앱 안에 design-tra.tistory.com 이미지 자료 중 일부는 학위 연구에서 인용하였습니다. 이 글은 보이스 앤 톤(Voice&Tone)에 대한 내용입니다. 많은 UX 라이팅 서적에서 일관된 라이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요, 왜 그런 걸까요? 그리고 모든 플로우와 케이스에서 일관성을 유지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상황이 있다는데, 무엇일까요? 언어는 디지털..
-
[UX리서치/UXR] ❷ 정량 사용성 평가(UT/Usability Test) :: 수집한 정량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죠?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정량 UT는 어떤 목적을 갖고 진행되는 걸까? 2. 정량 UT는 어떻게 진행할까? 3. 정량 UT로 수집된 데이터는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 지난 아티클에서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대면으로 진행하는지, 비대면인지, 모더레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UT의 종류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가장 흔히 구분하는 방법은 수집하는 데이터의 목적과 성질에 따른 구분이 아닐까 싶다. 이번 글에서는 정량, 정성 UT 중 전자에 초점을 맞춰 설명을 해보고자 한다. 구글에 '정량 UT'를 검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국문 정보가 많이 없는 것이 항상 아쉬움으로 남았는데, 이번 기회에 나도 공부하며 글을 정리해 본다. U..
-
[UX리서치/UXR] 국내 기업의 UX 리서치 패널 모집 방법 #인터뷰이 리쿠르팅
리서치 패널 : UX 리서치(인터뷰, 설문 등)에 참가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그룹 인하우스에서 일하는 UX 리서처들은 리서치 프로젝트마다 새로운 참여자를 모집하는 대신 미리 리서치 대상 집단인 리서치 패널을 구성하여 활용한다. 리서치 패널은 특정 제품, 서비스 또는 플랫폼을 사용하는 다양한 사용자 프로필을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되는데, 패널 멤버들은 주기적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고, 리서처는 설문 조사, 인터뷰, 유저 테스트 등을 진행하여 패널의 의견과 피드백을 수집할 수 있다. 리서치 패널을 활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모집한 리서치 패널은 일정을 단축하고 결과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는 효율성을 갖고 있기 때문. 필요할 때마다 빠르게 적합한 패널을 골라 리서치를 진행할 수 있다. 패널들은 이미 참여..
-
[UX리서치/UXR] ❶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테스트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다고요?
학부생 시절. 여러 팀 프로젝트를 통해 UX 리서치를 경험해 볼 수 있었다. 직접 설계하고 모더레이팅 해보는 흔치 않은 경험을 빠른 시기에 해본 샘이다. 그때의 난 '만드는 것'에 더 큰 흥미를 갖고 있어서 UXR분야에서 더 나아지려는 시도를 많이 하지 못했다. 어떻게 인뎁스 인터뷰를 이끌어가야 하는지, UT는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각각의 리서치는 어떤 목적을 갖고 시작해야 하는지는 잘 몰랐지만 우당탕탕 공유받은 자료들을 참고하며 그저 해나갔다. 시간이 지나고 대학원에 들어와 더 많은 경험을 하면서 문뜩 깨달은 것이 하나 있다. 흥미로운 솔루션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제를 발견하고 명확히 정의하는 것에도 노력해야 한다는 것. 늦었지만 2021년 말부터 비로소 UXR의 중요성을 깨닫고 더 나아지..
-
[UX리서치/UXR] ❸ 정성 사용성 평가(UT/Usability Testing) :: 정성스럽게 태스크 시나리오 준비하기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정성 사용성 평가(UT)는 어떤 주기로 하면 될까? 2. 사용성 평가(UT) 태스크 시나리오 작성 시 주의해야 하는 점 정량 UT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이젠 가장 흔히 시행하는 정성 UT를 다뤄볼 시간이다!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떤 표현과 단어로 태스크를 요청할까? -👈👀 now 4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❹ UT는 어떤 태스크로 구성해야할까?- 5편. [U..
-
[UX리서치/UXR] ❻ 사용자 실제 데이터로 사용성 평가하기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떤 표현과 단어로 태스크를 요청할까? - 4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❹ UT는 어떤 태스크로 구성해야할까?- 5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❺ UT 전, 안내하기 - 6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❻ 사용자 실제 데이터로 사용성 평가하기- 👈👀 now 7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❼..
-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⑤ - 페이퍼 프로토타입
벌써 컨텍스추얼 디자인의 마지막 편이다. 이 전 편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Contextual Design 시리즈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① - 컨텍스추얼 인터뷰 (contextual interview)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② - Work Modeling : 시퀀스 모델, 피지컬 모델, 아티팩트 모델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③ - 어피티니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④ - 워크 리디자인: 페르소나, 비전 도출, 스토리보드 비전을 도출하거나 권장 사항 목록을 만든 다음, 팀은 사용자에게 재디자인과 새로운 기능을 어떻게 제안할지에 대한 첫 번째 ..
-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① - 컨텍스추얼 인터뷰 (contextual interview)
Intro. 빅데이터 시대가 도래하며 산업 전반에 걸쳐 정량적 데이터가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정량적 데이터는 디자인이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UX 개선 사항을 조직의 목표와 핵심 성과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정량적 데이터가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면서 UX 디자이너 역시 데이터를 읽어내는 리터러시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하지만 정량적 데이터는 수치 변화와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행동 원인을 파악하기 힘들다. 때문에,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정성적 데이터를 함께 분석할 필요가 있다. 즉, 사용자 경험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데이터 뿐만 아니라 기존의 정성적 데이터를 이해하고 종합적인 인사이트를 내야 할 필요성이 커진 것이다. 정성적 데이터와 정량적 데이터가 상호보완적..
-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③ - 어피티니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
어느덧 Contextual Design 시리즈의 3번째 편이다. 전 편에선 컨텍스추얼 인터뷰를 통해 사용자를 관찰하는 방법과 각 사용자의 싱글 케이스를 시퀀스 모델, 피지컬 모델, 아티팩트 모델 등을 통해 시각화(정리)하는 법을 살펴보았다. 이번 편에선 흩어져 있는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를 통합하여 데이터를 더욱더 견고하게 만들어 갈 것이다. 이를 위해 어피티니 다이어그램을 가장 흔히 사용한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여러 사용자 집단에 걸친 모든 이슈를 파악하는 가장 빠르고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한 개인뿐만 아니라 전체 사용자 집단에 대한 이슈도 파악할 수 있다. ✅Contextual Design 시리즈 ①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① - 컨텍스추얼 인터뷰 (contextual i..
-
01.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무슨 차이예요??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무슨 차이예요?? 정보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몇몇 오픈 채팅방에 들어가 있다. 채팅방에 주기적으로 올라오는 질문이 있는데, UI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프로덕트 디자이너(Product Designer)가 어떤 차이인지에 대한 내용이었다. 실무에 있는 많은 디자이너들도 아직까지 명확하게 답해주는 사람이 적은 듯하다. 그래서 이 글을 바탕으로 UI, UX, 프로덕트 디자이너 간의 차이를 구별해보고자 한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는 UI 디자인을 아예 못해도 된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UX/UI 디자이너랑 프로덕트 디자이너랑 무슨 차이예요?" "JD를 확인하는데, 적혀있는 어쩌고 저쩌고 가 무슨 뜻인지 모르겠어요." 얼핏 보기에 UI 디자이너, UX 디자이..
-
[프로젝트 회고] 독서타임, 독서 시간 기록 앱 MVP를 출시하며...
이 글을 회고에 올릴지, 프로젝트로 올릴지 고민하다가 결국 회고 카테고리에 남겨본다. 쓸모없더라도, 아무도 관심 갖지 않더라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앱을 만들어 발전시켜 보자! 그렇게 나와 빈은 독서타임이라는 독서시간 기록 앱을 2개월 만에 출시했다. 이제 갓 출시를 마치고 돌아와, 지난 2개월의 시간을 회고하는 시간을 가졌다. *참고사항 : 독서타임은 지금은 '독서 시간 측정과 기록' 두 가지 기능만 제공하지만, 앞으로는 독서와 관련한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기능들을 추가할 예정이다. 회고의 목적을 먼저 잡았다. 🚩 오래 끌고 가려면 합을 맞춰야 한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프로젝트를 롱런하게 할 수 있을까? 프로젝트 매니징부터 기획, 디자인까지 책임지며 하려다 보니 확실히 처음이라서 어떻게 해야..
-
[UX Writing] Q: UX 라이팅 어떻게 써야할까요? A: 두가지로 요약해드립니다. - ❶편. 이해하기 쉽게 쓰기
이미지 자료 중 일부는 학위 연구에서 인용하였습니다. Q. 모바일 앱 어플리케이션에서 텍스트는 몇 % 나 차지하고 있을까요? 인터콤에 따르면, 앱스토어 내 인기 앱 25개를 분석했을 때 앱 안에 들어가는 텍스트는 평균 36%정도 된다고 합니다. 심지어 Strava, Google Maps, Uber 같은 지도 및 운송 서비스와 Paypal, Revolut 등의 핀테크 서비스의 경우 인터페이스의 40% 이상을 텍스트가 차지하고 있어요. 소셜미디어 (Facebook, Instagram, Snapchat, TikTok, Twitter, YouTube) 26.4% 피트니스 (Fitbit, Strava) 35.3% 여행 (Airbnb, Ryanair) 35.5% 음악 및 오디오 (Apple Music, Spotif..
-
[UX Writing] 개념 뽀개기 (UX 라이팅, UX 디자인, 마이크로카피, 카피 라이팅, 테크니컬 라이팅, 콘텐츠 전략 뭐가 다른데??)
'국내에서 UX 라이팅은 당연 화제다. 실리콘벨리는 2017년을 기점으로 많은 실무자/연구자에게 UX 라이팅이 소개되었고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점에 주목받고 있다. ‘UX 라이팅’이라는 단어가 대중의 인식을 높인 것은 2017년 사실 UX 라이팅이 의미하는 "User eXperience Writing" 사용자 경험을 위한 글쓰기(즉, 독자를 위한 글쓰기)는 이전부터 중요하게 강조되었던 글쓰기 기법 중 하나다. Google I/O '17의 ‘단어로 제품을 돋보이게 만드는 방법(How Words Can Make Your Product Stand Out)’ 발표 영상이 공개되고, 키네렛 이프 라(Kinneret Yifrah)의 마이크로카피가 발간되며 업계에 소개되었지만, 사실은 이미 디지털 환경에서의 ..
-
[UX리서치/UXR] ❺ 사용성 테스트(UT), 참여자에게 꼭! 전달해야 할 7가지 정보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UT 안내는 어떻게 할까? 2. 참여자에게 미리 알려야 하는 정보는 무엇인가? 원활히 사용성 평가(UT)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시작 전 참여자에게 알려야하는 몇 가지 정보가 있다. 본격적인 테스트 전 어떤 정보를 미리 안내해야 하는지 확인해 보자! 이번 글은 NN/g의 영상과 아티클을 참고했어요 :)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떤 표현과 단어로 태스크를 요청할까? - 4편. [UXR] 사용성 ..
-
[UX리서치/UXR] ❹ 정성 사용성 평가(UT/Usability Testing) :: UT는 어떤 태스크(Task/과업, 활동)로 구성해야할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어떤 기능을 태스크로 만들어야 할까? 2. 현실감 있는 태스크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지난 편에서 못다 한 정성 UT에 대한 이야기를 오늘 꺼내보려고 한다. 3편에서 어떤 표현을 사용하여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하는지(ex-기능명을 사용하지 않는다 등..)에 대해 살펴봤다면, 조금 더 넓은 범위에서 어떻게 태스크와 시나리오를 구성/설계할지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떤..
-
[모빌리티 UX] 왜 테슬라의 UI는 다양한 방식으로 모달을 띄울까?
최근 IVI에 대해 깊이 스터디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어요. 스터디하며 흥미로웠던 점을 공유하고자 아티클을 작성합니다. "우리 땐 말이야, 머릿속에 지도를 다 넣고 운전했어~" 저는 카카오 맵이나 네이버맵 없이 어딘가에 간다는 걸 상상할 수 없어요. 어릴 적 가족들과 전국일주 여행을 떠난 적이 있었는데, 그 자리엔 네비게이션이나 지도 앱이 없었어요. 대신 아버지의 차량 뒤편에 항상 꽂혀있던 전국 지도가 생각납니다. 종이 지도가 작은 스마트폰에 들어오며 우리의 일상은 크게 달라졌어요. 갈 수 있는 지역은 더 넓어지고, 경험할 수 있는 가치가 풍부해졌어요. 작은 모바일 속 지도는 이제 차량 안으로 들어왔어요. 더 넓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볼 수 있는 건 당연하거니와 운전자의 주행 상황 등에 더 부합하는 정보를..
-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② - Work Modeling : 시퀀스 모델, 피지컬 모델, 아티팩트 모델
지난 포스팅에서 컨텍스추얼 디자인(Contextual Design)의 컨텍스추얼 인터뷰(Contextual interview)를 소개했다.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행동을 관찰하고 질문하는 것을 통해 드러나지 않은 사용자의 속마음까지 들여다볼 수 있다는 점에서 정성적 리서치에 있어 중요한 방법 중 하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컨텍스추얼 인터뷰를 통해 얻어 낸 복잡한 정보를 정리하는 컨텍스추얼 디자인의 두 번째 스텝, 업무 모델링 Work Modeling 을 다뤄보고자 한다. ✅Contextual Design 시리즈 ①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① - 컨텍스추얼 인터뷰 (contextual interview) ②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② - 업무 모델링 (Work..
-
[UX 방법론/스터디] 카드 소팅과 덴드로그램 그룹화
임은정, 이지현. (2016). 인트라넷 서비스의 카드소팅 분석 및 도움말 정보 설계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6(2), 79-90.를 스터디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1. 카드 소팅 사용자에게 정보 단위가 적힌 카드를 나누어 주고 사용자 스스로 분류하고 분류 의도를 설명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디자인 대상자인 사용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연구 방법 Usability.gov- 사이트의 정보설계를 디자인하고 평가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레이블을 그룹핑하고 체계화하는 실험을 진행하는 방법 닐슨 노먼 그룹- 사용자가 콘텐츠를 어떻게 인식하고 분류하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 멘탈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용성 연구 방법 💁♀️멘탈모델 사물이 실제로 어떠한 방식으로 작동할 것이..
-
[번역] 시간 없을 때 보면 좋은 'UX 매핑법' 비교
UX 매핑 법 : 쉽고 간단한 비교 👀요약 : 공감지도, 사용자 여정 그래프, 서비스 청사진은 같은 조직에 있더라도 다른 프로세스로 정의되고 다른 목표를 지닙니다. 원문: https://www.nngroup.com/articles/ux-mapping-cheat-sheet/ UX Mapping Methods Compared: A Cheat Sheet Understan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empathy maps, customer journey maps, experience maps, and service blueprints. www.nngroup.com 프로덕트를 디자인하고 개발하는 것은 종종 다른 분야와 경험을 지닌 여러 사람들과 함께 큰 팀을 이뤄 진행합니다...
-
[UX Writing] 02_없으면 안되는 내용에만 집중하기
'콘텐츠 UX 디자인 : 쉽게 읽히는 온라인 콘텐츠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온라인 서비스에 딱 맞는 격언이 있다. "적을수록 좋다." 사이트 방문자가 알고 싶어 하는 것은 무엇일까? 알아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웹이나 앱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의 콘텐츠만 보여주려면 '원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보여줘야 한다. 1.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만 제공하라 2. 자르고, 자르고, 또 잘라라! 3. 핵심부터 써라 4. 언어의 담장을 허물어라 5.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케팅하라 6. 용도별로 정보를 여러 층으로 나눠라 [UX Writing] 없으면 안되는 내용에만 집중하기 01 '콘텐츠 UX 디자인 : 쉽게 읽히는 온라인 콘텐츠를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을 기반으로 ..
-
[UX 방법론] 스토리텔링 도구로서의 시나리오 (Context Scenario / Key path scenario / Validation Scenario)
'About Face 4 인터랙션 디자인의 본질'을 기반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에 있어 이야기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디자인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야기를 풀어나감으로써 적절한 디자인을 찾아낼 수 있고, 디자인 문제를 설명하고 해결하는 데 서술적인 이야기는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인터랙션 디자인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변하는 제품의 행동을 설계하는 일이기 때문에, 인터랙션이 많은 제품을 설명할 때도 서술적인 이야기가 큰 도움이 된다. 존 캐럴은 [Making Use]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디자인 과정에서 시나리오는 ‘이렇다면 어떨까?’라고 끊임없이 자문하게 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제공해 준다. 동시에 가능한 대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
[번역] UX guidelines for all aspects of Android for Cars 🚙 (안드로이드 카 UX 가이드라인)
Design for Driving foundations Android Automotive OS (AAOS)와 Android Auto 디자인 가이드 본 글은 구글의 Google design for driving의 General design guidance를 해석한 글입니다. https://developers.google.com/cars/design/automotive-os Design for Driving | Google Developers Android Automotive OS (AAOS) is an infotainment platform built into cars by car makers. Drivers can download compatible media apps directly into their..
-
[독서] 쇼핑의 과학_파코 언더힐
쇼핑의 과학_파코 언더힐 독서 기간: 2021.04.07 ~ 2021.04.17 별점: ★★★ 동기 쇼핑의 과학을 읽으며 흥미로웠던 점은 초판년도(1999년)로부터 20년이 훨씬 지난 2021년에 읽었음에도 공감하며 읽었다는 점이다. 시간이 흐르며 쇼핑하는 대상과 그 방식은 크게 변화했지만, 생물학적 인간이란 존재와 관련하여 변하지 않는 무언가가 있음이 틀림없다.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여러 변화가 있었다. 그 중 특히나 온라인(/모바일)에서 이뤄지는 비대면 비즈니스가 크게 성장했다. 큰 비즈니스 변화에 여러 오프라인 산업이 크게 흔들려 오프라인 매장의 생존 전략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오프라인 산업에는 미래가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러한 비대면 시대에서 '더현대 서울'과 '젠틀몬스터의 ..
-
[독서] 노르웨이의 숲_무라카미 하루키
노르웨이의 숲_무라카미 하루키 독서 기간: 2020.12.22 ~ 2020.12.27 별점: ★★★★ 동기 몇 안 되는 "인생 드라마" 중 하나인 을 최근 (클립으로) 다시 본다. 주인공이자 드라마 작가인 진주는 범수 감독이 대본을 읽기 전 하루키에 대해 말한다. "하루키는 대단해요." "뭐 누구요? 하루키? 하루키가 갑자기?" "규칙적인 생활. 아침에 일어나 클래식을 듣고, 낮에 달리며 록음악을 듣고, 하루에 정해진 원고량은 꼭 채우고 일을 다 마친 후 마시는 맥주 한 잔의 행복을 느끼며 재즈를 듣고, 잠들기 전에 내일 아침에 들을 클래식 음반을 챙겨두고, 음... 어느 정도까지는 몰라도, 최고의 경지에 오르기 위해선 철저한 자기 관리가 필요하죠." "길게 말씀하셨는데, 말씀의 의도를 모르겠어요." "..
-
[아티클] Persona를 찾아서: 야놀자의 17년의 여정 속 Persona를 알아보자.
2019년 08월 cracker.live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종종 주변에서 디자이너인 나에게 질문을 한다. "디자인하고 예술의 차이점이 뭐예요?" 👧"예술은 소량 생산을 하지만 디자인은 대량 생산을 위한 작업이에요." 👨🦰"예술은 우리에게 감동을 주고 메시지를 전달해 주지만 디자인은 그렇지 않고,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실용적인 것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 디자이너는 '누군가를 위한 경험을 전달하는 사람'이다. 🎨예술 - 창작자 자신을 (시각적/청각적 등의 방식으로) 표현하는 분야 👩💻디자인 - 타인을 위해 특정 경험을 전달하는 분야 뭐, 예술에서도 사랑스러운 여인을 위한 '교향곡'이나 '초상화'처럼 누군가를 위한 작품을 창작하기도 하지만 이것 역시 그녀를 향한 작가의 내면을 표..
-
[아티클] 첫 화면으로 사로잡아라
2019년 03월 cracker.live에서 작성한 글입니다. 첫인상은 강렬하다 우리는 누군가를 처음 만날 때 그 사람에 대한 '첫' 이미지를 정의한다. 그리고 짧은 순간 동안 보고 느낀 인상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하곤 한다. 첫 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그것보다 200배 이상 강렬한 인상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렇기에 첫 인상은 강렬하고 오래간다. " 좋은 첫인상을 남길 수 있는 기회란 결코 두번 다시 오지 않는다." -디오도어 루빈- 정신분석가인 디오도어 루빈은 좋은 첫 인상을 남기는 것을 '기회'라고 표현했다. 기회는 한번 뿐, 약 0.1초의 찰나의 시간동안 우리는 상대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야 한다. 인상은 사람이나 사물만의 것이 아니다. 우리 주변의 서비스 역시 좋은 첫인..
-
[독서]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_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오랜만에 티스토리에 글을 남긴다. 네이버 블로그에는 일상 이야기를, 티스토리에는 일에 집중한 기록을 남기려 했는데, 간만에 들고 온 주제가 정치책 이야기라니 .. 조금 낯설다.그래도 이곳은 내가 조금씩 더 나아지는 과정을 담기 위해 만든 블로그니까. 정치에 무심했던 내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고, 올바르게 판단하고 바라보는 법을 배워가는 중에 만난 책이라 더 의미 있게 다가와, 그래서 이곳에 기록해 두는 게 맞겠다는 생각이 들어 이렇게 글을 써본다.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_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기간: 2025/04/14 ~ 2023/05/24⏱️ 읽은 시간: 06:08:36⭐️ 별점: 4.3 *나의 어떠한 정치적 이념도 담아내지 않고, 뉴스기반. 팩트기반으로 적으려 노력했다. 하지만 나..
-
[사이드 프로젝트] 내가 기억하려고 쓴 독서타임 프로젝트 일기 - 1
[프로젝트 회고] 독서타임, 독서 시간 기록 앱 MVP를 출시하며... 이 글을 회고에 올릴지, 프로젝트로 올릴지 고민하다가 결국 회고 카테고리에 남겨본다. 쓸모없더라도, 아무도 관심 갖지 않더라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작은 앱을 만들어 발전시켜 보자! 그 design-tra.tistory.com 2023년 6월 독서타임의 MVP 버전을 처음 시작한 후로 약 8개월의 시간이 흘렀어요. 그러는 사이 티 날 듯 나지 않는 UX적인 개선도 많이 이루어졌고, 피드백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과 페이지를 추가해 갔어요. 이제는 제법 앱 서비스 다운 모습도 보여주고있는 듯해요. '앱' 다워진 기념으로 이번 아티클을 통해 출시 이후의 시간 동안 어떤 변화들이 있었는지 기록해 보고자 합니다. 유저 피드백을 어떻게 받고..
-
[UX리서치/UXR] ❼ UT 중, 사용자가 나에게 질문을 했다.. 진행자의 대답은..?
이 아티클에서 알 수 있는 내용 1. 싱크 얼라우드는 왜 요청하는 걸까? 2. 사용자 질문에 어떻게 대응/답변해야 할까? UT를 진행하다 보면, 참여자의 행동이나 질문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머뭇거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면 오늘 아티클을 꼭! 읽으면 좋다. 참여자 반응에 어떻게 반응하면, 더 값진 UT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답부터 말하자면.... 그 비밀은 바로, "대화하는 사용성 테스트"다.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
-
[UXR] 삼각측량(Triangulation): 여러 UX 방법을 사용하여 더 나은 연구 결과 얻기
지난 아티클에서 삼각측량에 대해 독단에서 빠져나와 UX의 확증 편향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 소개하였다. 개인적으로 더 공부해보고 싶었던 부분이기에 여러 아티클을 읽으며 스터디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삼각 측량은 영화에서 각각 다른 카메라 앵글을 잡는 것과 마찬가지다. 모든 프레임을 클로즈업으로 찍으면 영화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전체 그림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리서치에서도 영화처럼 클로즈업은 물론 전체 그림도 보여주길 원한다. [UXR] 당신의 UX 리서치가 형편없는 7가지 이유 (UX리서치의 7대 죄악) 좋은 UX 리서치는 뭘까? 완전 무결한 리서치를 내놓기는 어렵지만, 좋은 UX 리서치는 사용자 니즈에 관한 실행 가능하며 검증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뛰어난 경험에 대한 답은 디자이너 d..
-
[UXR] 당신의 UX 리서치가 형편없는 7가지 이유 (UX리서치의 7대 죄악)
좋은 UX 리서치는 뭘까? 완전 무결한 리서치를 내놓기는 어렵지만, 좋은 UX 리서치는 사용자 니즈에 관한 실행 가능하며 검증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뛰어난 경험에 대한 답은 디자이너에게 있을 수 없다. 예측했듯이 그 답은 사용자만이 알고 있다. 리서처(Researcher)는 올바른 리서치 수행을 통해 사용자의 생각 속으로 딥 다이브 해야 한다 (답변의 꼬리에 꼬리를 물어 질문하는 '꼬리 질문'도 딥 다이브를 위한 스킬 중 하나다). 데이비드 트래비스와 필립 호지슨은 그들의 책 에서 좋은 UX 리서치를 위해서는 아래 7가지 죄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맹신, 독단, 편향, 반계몽주의, 게으름, 모호함, 오만" 인터뷰에 대한 맹신 심리학자 리서드 니스벳(Richard Nisbett)과 티모..
-
00. 디자이너가 비즈니스를 이해해야 하는 이유
비즈니스에 임팩트를 주는 디자이너(/기획자)가 되고 싶다. 이 꿈을 갖게 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4~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17년 대학교 2학년, 경영학을 전공하거나 스타트업에 관심이 큰 친구들과 함께 IT 이슈에 대해 대화하는 모임을 가졌다. 그때, 처음으로 스타트업은 어떤 곳인지. 투자가 무엇인지. BM은 어떻게 세우는지. 알게 되었다. 2018년 초, 가난했던 대학생이었던 난 큰맘 먹고 10만 원 정도 되는 강연을 구매해 실무 디자이너들의 이야기를 처음 들어보았다. 실무 디자인은 당시 내가 알고 있던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조금은) 다르다는 걸 처음 깨달았던 순간이었다. 그 무렵 한 회사의 디자이너 채용 글에서 '비즈니스에 날개를 달아 줄 디자이너'라는 문구를 접했다. 그 무렵부터 사용..
-
[서비스 분석] 토스, 카카오 뱅크, 카카오페이는 어떻게 '신용점수 변동 알림'을 보내주고 있을까?
몇 달 전, 카드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신용점수가 변경되었다는 알림을 받았습니다. 아마 이 푸시 알림이 없었더라면 아무것(카드 만기+신용점수 변동)도 모른 채 지나쳤을 것 같아요. 알림을 보내준 서비스는 카카오 뱅크 (카뱅) / 카카오페이 (카페) / 토스였는데요, 각 서비스마다 전달하는 메시지가 달랐던 점이 흥미로워 이번 게시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신용 점수 서비스 사실, 경제적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지 않은 저에겐 신용 점수는 조금 어려운 개념이에요. 그래서 먼저, 신용 점수와 그 서비스에 대해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신용점수가 일상에서 뗄 수 없는 녀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신용 점수는 '좋은 소비 습관'을 지녔고 '재무상태 점검' 등에 노력을 기울인다는 것을 말해주기 ..
-
[UX/UI 프로젝트] Croops, 당신의 성공적인 홈 파밍을 위하여 (데이터시각화 중심 프로젝트)
* 본 게시글은 PC 화면으로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Overview. 당신의 성공적인 홈 파밍을 위하여, Croops Croops는 1인 가구도 쉽고 즐겁게 작물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마트 팜 관측/관리 앱 서비스입니다. 작물에 대한 실시간 정보와 다양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더 나은 작물 생산에 도움을 줍니다. 🗓Start Date May 2021 ⏱Duratio 1 Month 👤Role 개인 작업 - 기획 (100%), 데이터시각화 (100%), UX/UI디자인, 시각화 (100%) 👀Output iOS Application 🔧Tools Figma, Protopie * 스마트팜 (Smart-farm) 스마트 팜은 IoT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 습도 · 햇볕량 · 이산화탄..
-
[UX 방법론] Contextual Design ④ - 워크 리디자인: 페르소나, 비전도출, 스토리보드
UX 디자인의 더블 다이아몬드 다이어그램에서 첫 번째 다이아몬드가 완성되었다. 지금부터는 또 한 번 더 발산의 과정을 거친다. 인터뷰와 분석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무수한 비전을 도출한다. CD(컨텍스추얼 디자인)에서는 이 단계를 이라 부른다. 조금은 생소하게 다가오기도 한다. Work Redesign 아마, 이 단계는 워크 리디자인이라는 말보다 페르소나, 비전 도출, 스토리보드라 설명해야 더 와닿을 것 같다. 사용자들이 새로운 시스템을 어떻게 사용할지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이 주 목표가 되는 단계다. 이 단계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페르소나 작성하기 2. 어피니티 워킹과 시퀀스 워킹 3. 비전 도출 4. 스토리보드 만들기 1. 페르소나 작성하기 풍..
-
[짧은 기록] 우당탕-타-앙! 나의 첫 논문 투고기
💣긴 글 주의 석사 연구원이 된 지 고작 2달이 지났다. 우당탕탕 말 그대로 정신없는 나날을 보내고 있는데, 매일같이 "출근 > 조교 (/수업) > 퇴근 > 공부"의 루틴을 반복하며 나도 모르는 사이 허무감에 빠져있기도 했다. 하지만 나름 최선을 다하고 있는 병아리 연구원이다. 2021년 05월에 진행되는 한국디자인학회 국제 학술대회 준비를 했다. 첫 개인연구인지라 부족한 점이 많았지만, 이 영광스러운 순간을 기록하고 싶어 를 작성하고자 한다. 논문 작성 목표 1. 상대가 납득할 만한 논리적인 글을 작성해보자. 2. 논문의 구성과 구조를 이해해보자. 3. 잘 쓸 필요없다. 논문 한편을 완성해보자. 논문 작성 과정 1. 관심 영역 설정 2. 관심 영역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한 관련 지식 함양 3. 문제 영..
-
[독서] 피프티 피플_정세랑
피프티 피플_정세랑 독서 기간: 2021.04.11 ~ 2021.04.13 별점: ★★★★ ① 우리 모두가 주인공이다. 피프티피플은 수도권 어느 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50여명의 주인공이 등장하는 소설이다. 그들은 각자만의 삶을 그리며 살아간다. 그들의 인생의 주인공은 스스로 이다. 작가 정세랑의 말처럼 각 주인공의 이야기를 이어가보면 퍼즐을 맞추듯 하나의 그림이 나타난다. 응급의학과 이기윤은 조양선의 딸 승희가 케이크칼에 목이 잘려 응급실에 온 날의 근무자였다. 강한영의 동생 강한정이 폐쇄병동에 입원한 후 보안요원 김성진의 평화는 끝이났다. 소현재는 병원에서 우연히 마주는 황주리와의 결혼을 꿈꾸고, 양혜련은 귀에 벌이 들어간 문우남의 아내 진선미를 캐디로서 마주한다. 김혁현은 천재소녀 유채원을 좋..
-
[독서] 마이크로 카피_킨너렛 이프라
마이크로 카피_킨너렛 이프라 독서 기간: 2021.03.16 ~ 2021.03.27 별점: ★★★★★ 동기 (주절주절) 이 세상 모든 디자이너들이 나만 빼고 읽은 것만 같은 이 책. 전반적인 서비스 플로우에서부터 작은 CTA색상까지 UX의 영역이지만, 이제는 더 마이크로 하게 접근해 문구 하나하나까지 사용자 경험의 일부임을 뼈저리게 느끼고 있는 요즘이다. 그렇기에 꼭!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이전부터 읽어보고 싶었는데, 사람이 실천하기 위해서는 뼈저리게 체감해야 한다고.. 요즘 이래저래 일하며 UX Writing을 접했기에 이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주절주절) 마이크로 카피: 몇 개의 단어만 정확한 위치와 타이밍에 추가함으로써 사용자 경험(UX)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
🏋️♀️ UX Research
-
[UX리서치/UXR] ❶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테스트 종류가 이렇게 다양하다고요?
학부생 시절. 여러 팀 프로젝트를 통해 UX 리서치를 경험해 볼 수 있었다. 직접 설계하고 모더레이팅 해보는 흔치 않은 경험을 빠른 시기에 해본 샘이다. 그때의 난 '만드는 것'에 더 큰 흥미를 갖고 있어서 UXR분야에서 더 나아지려는 시도를 많이 하지 못했다. 어떻게 인뎁스 인터뷰를 이끌어가야 하는지, UT는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지, 각각의 리서치는 어떤 목적을 갖고 시작해야 하는지는 잘 몰랐지만 우당탕탕 공유받은 자료들을 참고하며 그저 해나갔다. 시간이 지나고 대학원에 들어와 더 많은 경험을 하면서 문뜩 깨달은 것이 하나 있다. 흥미로운 솔루션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문제를 발견하고 명확히 정의하는 것에도 노력해야 한다는 것. 늦었지만 2021년 말부터 비로소 UXR의 중요성을 깨닫고 더 나아지..
2023.04.16 08:09 -
[UX리서치/UXR] ❷ 정량 사용성 평가(UT/Usability Test) :: 수집한 정량 데이터는 어떻게 활용하죠?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정량 UT는 어떤 목적을 갖고 진행되는 걸까? 2. 정량 UT는 어떻게 진행할까? 3. 정량 UT로 수집된 데이터는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 수 있을까? 지난 아티클에서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는 대면으로 진행하는지, 비대면인지, 모더레이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UT의 종류를 구분하기도 하지만, 가장 흔히 구분하는 방법은 수집하는 데이터의 목적과 성질에 따른 구분이 아닐까 싶다. 이번 글에서는 정량, 정성 UT 중 전자에 초점을 맞춰 설명을 해보고자 한다. 구글에 '정량 UT'를 검색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국문 정보가 많이 없는 것이 항상 아쉬움으로 남았는데, 이번 기회에 나도 공부하며 글을 정리해 본다. U..
2023.04.21 21:49 -
[UX리서치/UXR] ❸ 정성 사용성 평가(UT/Usability Testing) :: 정성스럽게 태스크 시나리오 준비하기
✔️ 이 글에서 얻어갈 수 있는 내용 1. 정성 사용성 평가(UT)는 어떤 주기로 하면 될까? 2. 사용성 평가(UT) 태스크 시나리오 작성 시 주의해야 하는 점 정량 UT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이젠 가장 흔히 시행하는 정성 UT를 다뤄볼 시간이다! UX 리서치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시리즈 1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❶ 개념/테스트 종류 - 2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❷ 정량 UT- 3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❸ 어떤 표현과 단어로 태스크를 요청할까? -👈👀 now 4편. [UXR] 사용성 평가(Usability Test) - ❹ UT는 어떤 태스크로 구성해야할까?- 5편. [U..
2023.04.25 22:38 -
[UXR] 당신의 UX 리서치가 형편없는 7가지 이유 (UX리서치의 7대 죄악)
좋은 UX 리서치는 뭘까? 완전 무결한 리서치를 내놓기는 어렵지만, 좋은 UX 리서치는 사용자 니즈에 관한 실행 가능하며 검증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뛰어난 경험에 대한 답은 디자이너에게 있을 수 없다. 예측했듯이 그 답은 사용자만이 알고 있다. 리서처(Researcher)는 올바른 리서치 수행을 통해 사용자의 생각 속으로 딥 다이브 해야 한다 (답변의 꼬리에 꼬리를 물어 질문하는 '꼬리 질문'도 딥 다이브를 위한 스킬 중 하나다). 데이비드 트래비스와 필립 호지슨은 그들의 책 에서 좋은 UX 리서치를 위해서는 아래 7가지 죄악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맹신, 독단, 편향, 반계몽주의, 게으름, 모호함, 오만" 인터뷰에 대한 맹신 심리학자 리서드 니스벳(Richard Nisbett)과 티모..
2022.07.19 09:30 -
[UXR] 삼각측량(Triangulation): 여러 UX 방법을 사용하여 더 나은 연구 결과 얻기
지난 아티클에서 삼각측량에 대해 독단에서 빠져나와 UX의 확증 편향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 소개하였다. 개인적으로 더 공부해보고 싶었던 부분이기에 여러 아티클을 읽으며 스터디한 내용을 공유하고자 한다. 삼각 측량은 영화에서 각각 다른 카메라 앵글을 잡는 것과 마찬가지다. 모든 프레임을 클로즈업으로 찍으면 영화의 진행 상황에 대한 전체 그림을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리서치에서도 영화처럼 클로즈업은 물론 전체 그림도 보여주길 원한다. [UXR] 당신의 UX 리서치가 형편없는 7가지 이유 (UX리서치의 7대 죄악) 좋은 UX 리서치는 뭘까? 완전 무결한 리서치를 내놓기는 어렵지만, 좋은 UX 리서치는 사용자 니즈에 관한 실행 가능하며 검증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뛰어난 경험에 대한 답은 디자이너 d..
2022.09.21 22:52